화상 종류 및 응급 처치 요령 방법
화상 종류 및 응급 처치 요령 방법
강도에 따른 종류
1도 : 피부가 빨갛게 되면서 부어오르나 물집은 생기지 않는다.
2도 : 피부가 빨갛게 되고 타는 듯한 통증이 있다.
3도 : 피부 전 층이 손상을 입어 피부가 건조하고 흰색 또는 검은색으로 변한다.
병원으로 이송하여 치료해야 하는 화상
-화공 약품, 전기 화상, 흡입 화상
-화상 부위가 얼굴, 손, 발, 관절, 생식 기관인 경우
-화상의 부위가 넓은 경우
-화상에 의한 통증이 계속될 경우
화상 원인에 따른 조치요령
1) 열 화상
가) 화상 부위를 찬물에 20분 이상 담가 열기를 식힌다.
- 흐르는 물 또는 물수건으로도 가능
- 뜨거운 액체에 화상을 입은 경우 옷을 벗기지 않고 냉각시킨다.
나) 시계, 반지, 목걸이 등의 장신구는 피부가 부어오르기 전에 최대한 빨리 제거한다.
다) 화상 부위에 바세린이나 화상 거즈(깨끗한 거즈)로 덮어주고 붕대로 감아준다.
라) 병원이송이 필요한 화상이면 병원으로 이송한다.
[주의사항]
ㆍ물집을 제거하는 처치는 하지 않는다.(감염 위험)
ㆍ얼음을 화상부위에 직접 대는 처치는 하지 않는다(동상 위험)
ㆍ화상 부위를 찬물에 담그는 처치는 주의를 요한다.(체온저하 위험)
ㆍ민간 요법은 실시하지 않는다(감염 위험)
2) 화학 화상
가) 환자를 안전한 곳으로 옮기고 화상이 더 진행되지 않도록 조치한다.
나) 화학물질이 액체가 아닌 고형 물질이라면 물로 씻기 전에 먼저 털어낸다.
다) 약품이 묻은 의류와 신발등은 즉시 제거하고, 화학약품이 전부 제거될 때까지 흐르는 물로 계속 씻는다.(이때 씻는 것이 부족할 때에는 깊은 상처가 될 수도 있음)
라) 약품이 눈에 들어간 경우
- 손가락으로 눈꺼풀을 충분히 벌린다.
- 그다지 세게 흐르지 않는 물로 세척이 골고루 잘되도록 한다.
세척하는 물은 눈 언저리에서 눈 꼬리 쪽으로 물을 흘려줘 다른 눈에 물이 흘러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3) 전기 화상
가) 건조한 막대로 환자 몸에 부착되어 있는 전선을 제거하거나, 고무장갑을 끼든가 골판지 위에 올라가 떼어낸다
나) 감전 후 수시간 안정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며 119에 신고한다.
다) 호흡이 정지된 경우는 인공호흡을 심장 정지가 있는 경우 심폐소생술을 실시한다.
4) 흡입 화상
가) 119에 신고한다.
나) 환자를 안전한 곳으로 옮기고 의복을 느슨하게 하고, 신선한 공기를 마실 수 있도록 한다
다) 호흡 또는 심장 정지가 발생한 경우에는 심폐소생술을 시작한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