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시설 점검 시 주의사항 및 착안 사항

전기 시설 점검 시 주의사항 및 착안 사항

1. 전기 시설 점검 시 주의사항

 전기설비에 가까이 접근하거나, 측정기 등으로 직접 접촉하여 점검할 경우에, 아무리 전기에 대한 상식이 많이 있다 하더라도 전기의 위험성으로부터 제외될 수 없으므로, 본인의 안전을 위하여 다음의 주의 사항을 숙지할 필요가 있다. 

 가. 마음가짐

 (1) 항상 안전의식을 갖고 기분 좋은 자세로 점검할 것.

 (2) 몸의 컨디션이 좋지 않다든지 걱정거리가 있을 경우 직접 측정이나 점검하지 말 것. 

 (3) 비, 눈이 오거나 혹서, 혹한기에는 변전소 등 옥외 전기설비 점검을 금할 것. 

 나. 복 장

 (1) 점검에 적합한 경쾌하고 작업하기 쉬운 복장을 할 것 

 (2) 안전모를 착용할 때는 반드시 턱끈을 꽉 조일 것.

 (3) 활선상태의 충전부를 측정 점검할 때는 금속밴드가 달린 손목시계 및 반지 등은 뺄 것

다. 행 동

 (1) 충전부 근처에서 점검할 때는 접근 한계거리 이상 유지할 것.

 (2) 충전부를 직접 측정할 때는 접근 한계거리 이상 유지할 것.

 (3)고압변전소 점검시는 충전부 이 외의 철 구조물이라도 함부로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보행시 보폭을 짧게 할 것. 

 (4) 수, 배전반의 문을 열었을 때는 문을 고정시킨 후 손전등 등으로 내부의 조도를 충분히 유지한 후 점검할 것. 

 (5) 높은 곳에 있는 설비의 점검은 발 밑을 주의하고, 무리한 행동을 금할 것. 

 2. 점검 착안사항 

 가. 수배전 설비

 (1) 충전부 방호 및 위험표지 

 가) 보호울타리, 담의 시설 

 ① 변압기, 차단기 등 고압 설비 주변에 울타리, 담 등이 설치되어 있는가? 

 ② 전기설비 취급자 이 외의 작업자가 출입할 수 없도록 시설되어 있는가? 

 ③ 작업장소에 충전부와의 이격거리는 충분한가? 

 ④ 출입문에 안전표지(출입금지, 고압위험)는 부착되어 있는가? 

 ⑤ 금속제 울타리의 경우 접지되어 있는가? 


 나) 수, 배전반 기기외함의 시설 

 ① 외부손상, 철재류 부식상태는? 

 ② 비, 습기 등의 침입(옥외에 시설될 경우) 우려는 없는가? 

 ③ 접지선 접속상태, 단선유무 등 ④ 내부조명 등 상태는 양호한가? 

 ⑤ 각종 계기류 동작상태는 양호한가? 


 (2) 차단기, 개폐기류 

 가) 차단기 

 ① 표시 램프, ON-Off 표시 LAMP 등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시설이 되어 있는가? 

 ② 균열, 누유, 오손 등 외판상태의 이상은 없는가? 

 ③ 정격전압, 정격전류의 선정은 적정한가? 

 ④ 차단용량 또는 차단정격은 충분한가? 


 나) 개패기 

 ① 중력 등에 의하여 동작할 우려가 있는 경우 쇄정장치 기타 방지장치가 시설되어 있는가? ※차단기의 차단정격은 단락전류를 계산하여 선정 

 ② 부하시 개로할 수 없도록 시설되어 있는가? 

 ③ 개폐상태를 표시하는 장치가 시설되어 있는가? 

 ④ 정잔작업용 잠금장치의 설치 또는 통전금지표찰 등을 보유하고 있는가? 

 ⑤ 칼날 접촉상태가 불완전하지 않는가? ※ 잠금장치/꼬리표 부착 확인 


 (3) 피뢰기 

 ① 옥외 수전 변전소 인입구에 시설되어 있는가? 

 ② 인하도선의 탈락, 꼬임, 단선, 배관파손 등 시설상의 결함은 없는가? 

 ③ 애자의 오손, 파손 등 외관상태는 양호한가? 

 ④ 정기적으로 접지저항을 측정하고 있는가? 

 ※ 피뢰기 :낙뢰또는선로 개폐시 발생되는 과전압을 제한하여 전기시설의 절연을 보호하는 장치 


 (4) 전기기기 (변압기, CT, PT MOF, 축전지 등) 

 ① 외함의 누유는 없는가? 

 ② 코로나음, 이상소음이 발생하지는 않는가? 

 ③ 흡습제 상태는 양호한가? 

 ④ 외함접지 상태는 양호한가? 

 ⑤ 축전지 일상점검 관리상태(전압, 비중 측정)는 양호한가? 


 (5) 인입선 구내전선로 

 ① 지상고, 이격거리는 충분한가? 

 ② 케이블, 부스에 상표시 구분이 되어 있는가? 

 ③ 고압케이블의 외피접지 상태는 양호한가? 

 ④ 케이블 단말처리상태, 피복손상 유무 

 ⑤ 케이블 매설방법 및 위치 표시는 되어 있는가?


 (6) 보호 계전기 

 ① 보호계전기의 구성은 적정한가? 

 ② Tap, Lever 위치 적정 유무 

 ③ 동작상태는 양호한가? 

 ④ 이상음, 진동이 발생하는가? 


 (7) 기타 

 ① 관리책임자가 선임되어 있는가? 

 ② 변전실을 창고대용으로 활용하고 있지 않는가? 

 ③ 수, 배전반 내부로 쥐, 고양이 등 동물 침입 가능성은 없는가? 

 ④ 보수작업공간, 통행공간은 충분한가? 

 ⑤ 축전지실 환기상태는 양호한가? 

 ⑥ 피뢰침 적용 및 설치방법은 적정한가? 

 ※ 피뢰침 설치에 관한 기술상의 지침(고시 제1993-21) 참조 


 나. 제어반 및 분전반 

 (1) 외함구조 

 ① 내부카바 및 개폐문외 탈락 유무고정 상태 등 충전부분에 대한 방호상태는 이상이 없는가? 

 ② 습기, 물, 분진(옥외애서 시설될 경우) 등이 침입하지는 않는가? 

 ③ Panel 위 또는 내부에 불필요한 물건을 방치하지는 않는가? 

 ④ 금속제 외함의 경우 접지상태는 양호한가? 

 ⑤ 개폐기 취급시 오조작 방지를 위하여 회로명이 표기되어 있는가? 

 ⑥ 지시계기, 표시램프 등의 상태는 양호한가? 

 ⑦ 금속관, 가요전선관 인입구는 전선의 피복을 손상하지 아니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가? 


 (2) 배선용 차단기류 

 ① 보호카바가 탈락, 파손, 오손되지는 않는가? 

 ② 단자접속부 조임상태는 양호한가? 

 ③ 휴즈를 구리선 또는 철선 등으로 대용하지는 않는가? 

 ④ 부하전원을 문어발식 인출, 부하 불평형식으로 인출하지 않는가? 

 ⑤ 차단기 차단용량 또는 차단정격 용량은 적절한가?


 (3) 누전 차단기 

 ① 꽃음접속식 누전차단기를 사용하고 있는가? 

 ② 월 1회 이상 Test Button을 눌러 동작상태를 점검하고 있는가? 

 ③ 전력공급 방법에 따라 적절히 사용하고 있는가? 

 ※ 산업안전규칙 제329조(누전차단기에 의한 감전방지)참조 


 다. 접 지 

 (1) 전기기계 기구 외함 접지 

 ① 접지대상 설비에 모두 접지되어 있는가? ② 접지저항은 충분히 낮은가? 

 ③ 접지를 생략하고 누전차단기에만 의존하고 있지 않는가? 

 (2) 철 구조물 변전소, 울타리, 위험물 저장탱크 

 ① 접지형 플러그에 2극형 어댑터를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지 않는가? 

 ② 접지선을 심하게 감아 설치하지 않았는가? 

 ③ 접시선의 굵기는 적절한가? 

 ④ 배전반에 접지부스가 있는가? 

 ⑤ 접지부스에서 접지선이 분기되고 있는가? 


 라. 절연 

 (1) 전선로 및 전기 기기 절연 

 ① 주기적으로 절연저항을 측정하고 기록 유지하고 있는가? 

 ② 옥내배선 절연상태는 양호한가? 

 ③ 전기기기 절연상태는 양호한가? 


 마. 배선 

 (1) 정리정돈 및 절연피복 

 ① 절연피복이 손상되었거나 난잡하게 설치되어 있지 않는가? 

 ② 애자 또는 전선지지물이 탈락되어 있지 않는가? 

 ③ 절연 테이프로 수리된 전선이 물에 접촉되어 있지 않는가? 

 ④ 통로의 전선이 중량물 압박 및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호되었는가? 

 (2) 용도 및 규격 

 ① 용도에 적합한 전선 및 케이블을 사용하고 있는가? 

 ② 전선로의 종류에 따라 허용전류에 적합하게 포설되어 있는가? 

 ③ 단말처리된 곳의 전선피복 온도를 비접촉식 온도계로 측정하여 관리하고 있는가? 


 바. 전동기 

 (1) 이상진동, 소음, 과열 

 ① 운전중 이상소음, 과열,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가? 

 ② 전로의 절연저항은 양호한가? 

 ③ 단자함이 고정 불량 또는 탈락하지는 않았는가? 

 ④ 조작스위치 상태는 양호한가?

 ⑤ 외함접지 상태는 양호한가? 


 (2) 이동형 전동공구 

 ① 접지극형 플러그 및 콘센트를 사용하고 접지형 코드선으로 접지되어 있는가? 

 ② 코드선이 손상된 부분은 없는가? 

 ③ 이중절연 구조(접지 생략가능)로 사용하는 것이 있는가? 


 사. 교류아크용접기 

 (1) 외함 충전부 방호 

 ① 용접기 외함접지 상태는 양호한가? 

 ② 용접기의 입출력 단자가 절연테이핑 또는 절연커버로 방호되어 있는가? 

 ③ 검정품 자동전격방지기가 부착되어 있으며 작동상태는 양호한가?


 (2) 전용 차단기 

 ① 용접기 근처에 전용 개폐기가 설치되어 있는가? 

 ② 휴식, 작업 후에 전원을 차단하는가? 

 ③ 습한 장소나 방폭지역에 용접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가? 


 (3) 용접기 홀더 및 배선 

 ① 출력측 배선으로 용접용 케이블을 사용하고 있는가? 

 ② 배선이 손상되었거나 중량물에 압박되어 있지 않는가? 

 ③ 홀더 절연물이 파손되지 않았는가? 

 ※ 전격방지기 설치 장소 : 위험기계 기구 방호조치기준 참조 아. 조명 설비 


 (1) 이동용 등기구 

 ① 전구의 파손으로 인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망이 부착되어 있는가? 

 ② 접지형 플러그 및 접지형 콘센트를 사용하여 접지 하였는가? 

 ③ 코드 피복이 손상된 부분은 없는가? 


 (2) 전기설비 취급장소의 조명 

 ① 전기기계기구의 조작을 위한 조명은 설치되어 있는가? 

 ② 조명의 밝기는 충분히 유지되고 있는가? 


 자. 작업 안전 

 (1) 보호구 작업용 기구 

 ① 활선작업용 기구, 장치, 절연용 보호구, 방호구의 비치 및 관리상태는 양호한가? 

 ② 주기적으로 성능을 확인하고 있는가? 

 ③ 작업자는 사용방법을 숙지하고 있는가? 

 ※ 활선작업용 기구 : 절연봉, 활선작업용 장치 : 고소작업차, 방호구 : 절연관 


 (2) 방폭전기기기 

 ① 방폭지역에 적합한 방폭구조 전기기기를 설치하였는가? 

 ② 모든 방폭구조 전기기기는 검정품인가? 

 ③ 방폭지역 내의 배선방법은 적절한가? 


 카. 정전기 

 ① 정전기 발생억제를 위한 기준이 제정되어 운영되고 있는가? 

 ② 접지, 제전설비 등으로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조치를 적절히 하고 있는가? 


 타. 기타 

 (1) 전기도면 

 ① 전기단선도를 보관하고 있는가? 

 ② 주기적으로 변경된 내용을 개정하고 있는가? 


 (2) 주기점검 

 ① 일상 순찰 점검을 실시하고 있는가? 

 ② 주기적으로 절연저항 및 접지저항을 측정하여 관리하고 있는가?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이동식 비계 용어, 사용 주의사항, 재해 원인, 대책, 추락

전기의 위험성 및 인체의 전기적 특성, 접촉 형태